한국의 혼외자 출생률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가장 낮은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2014년 기준 한국의 혼외자 출생률이 1.9%인 반면 프랑스는 56.7%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통계청과 통계개발원이 1일 펴낸 계간지 'KOSTAT 통계플러스' 가을호에 실린 '한부모 가구, 미혼모·미혼부 특성' 보고서에 따르면 2014년 기준 한국의 혼외자 출생률은 OECD 회원국 가운데 가장 낮았습니다.
혼외자 출생률은 연간 신고된 혼인 외 출생아 수를 총 출생아 수로 나눈 뒤 100을 곱한 값입니다.
2014년 기준 혼외자 출생률은 일본이 2.3%로 OECD 국가 중 2번째로 낮았고 이어 터키 2.8%, 이스라엘 6.3%의 순이었습니다.
반면 프랑스(56.7%), 스웨덴(54.6%), 네덜란드(48.7%) 스페인(42.5%), 미국(40.2%) 등은 혼외자 출생률이 높았습니다.
OECD 27개국의 평균 혼외자 출생률은 40.5%, 유럽국가의 평균 혼외자 출생률은 39.6%로 나타났습니다.
보고서는 유럽국가의 혼외자 출생률이 높은 것에 관해 "동거의 비율이 높고 혼외자에 대한 사회적 편견과 차별이 없기 때문"이라고 분석했습니다.
2017년 기준 한국의 한부모 가구는 153만3천 가구로, 전체 가구의 7.8%를 차지하는 것으로 추산됐습니다.
2017년 기준 미혼모는 2만2천65명, 미혼부(8천424명)의 약 2.6배에 달했습니다.
이혼에 관한 인식 조사 결과를 보면 '이유가 있으면 이혼하는 것이 좋다'는 응답은 지난 10년 사이 6.8%에서 14.0%로 늘었습니다.
저작권자 © 생활경제TV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