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남북한·일본, 9일 런던서 '동해-일본해' 표기 비공식 협의(뉴스후플러스) 홍주영 기자 = 남북한과 일본과 지난 9일 영국 런던에서 동해(East Sea)와 일본해(Japan Sea) 표기 문제와 관련한 비공식 협의를 했다고 11일 요미우리신문, 산케이신문 등 일본 언론들이 보도했다. 이 자리에는 외무성 관계자, 한국과 북한의 관계 당국 간부가 참석했으며 표기 문제와 직접 관련이 없는 미국과 영국 관계자들도 참석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협의는 국제수로기구(IHO)의 요청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세계 각국 지도제작의 지침이 되는 IHO의 간행물 ‘해양과 바다의 경계’에는 1929년 초판부터 현행판(1953년)까지 동해가 '일본해'로 표기돼 있다. IHO가 ‘일본해’를 단독 표기하고 있는 지도 제작 지침의 개정을 추진하며 한국과 협의하라고 요구한 것이다. 우리 정부는 '동해'로 단독 표기해야 한다는 기본 입장을 갖고 있지만, 일본과 합의가 이뤄질 때까지는 개정 논의가 진행 중인 이 간행물에 동해-일본해를 병기하자고 주장하고 있다. 이에 일본 정부는 '일본해'가 유일한 호칭이라는 주장을 굽히지 않고 있다. 일본 정부가 미적거리는 태도를 보이자 IHO 사무국은 지난 가을 쯤 “협의에 응하지 않을 경우 지침 개정뿐 아니라 일본해 (Japan Sea)명칭 폐지도 검토하겠다”고 압박한 바 있다. 일본은 자칫 간행물 개정 과정에서 한국 측의 주장이 받아들여질 수 있다는 우려 때문에 마지못해 협의에 응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번 협의의 자세한 내용은 알려지지 않았지만, 남북한과 일본이 각자의 입장을 재차 강조하면서 입장차를 드러낸 것으로 추정된다. 산케이는 일본 측은 앞으로 협의를 계속 진행해도 개칭에 응할 생각은 없고 기존 입장을 견지할 것이라고 전했다.
-
한국 문화원, ‘아시아 여성 비하 광고’ 독일 기업에 공식 항의(뉴스후플러스)홍주영 기자 = 한국 정부 측이 최근 아시아 여성 비하 논란을 일으킨 독일 DIY 기업 '호른바흐(HORNBACH)'에 공식 항의했다. 주독 한국문화원(원장 권세훈)은 현지시간 9일 호른바흐에 공식 항의 서한을 보내 문제가 된 광고에 대한 "적절한 조치를 해달라"고 촉구했다. 한국문화원은 서한에서 "아무리 기업광고의 일차적인 목표가 소비자의 관심을 끄는 것이라도 내용이 특정 인종이나 여성에게 혐오와 불쾌감을 불러일으킨다면 정당화될 수 없다"고 밝혔다. 또 "한국 교민들은 귀사의 광고가 아시아계 여성들을 비하하고 폄하해 독일 사회에 아시아계 여성들에 대한 잘못된 성의식을 조장하고 독일 남성들의 비뚤어진 성적 우월성을 보여주는 것으로 매우 불쾌해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또한, "어느 국가보다도 여성 인권과 보호에 앞장서온 독일에서 이러한 광고가 등장한 것에 대해“ 유감을 표하며, "현지 한국 교민사회의 반발과 한국사회 내 독일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 확산 우려를 전달하기 위해 서한을 보낸다"고 설명했다. 한편, 지난달 중순부터 캠페인을 시작한 해당 기업 ‘호른바흐’의 영상 광고는 인종차별 논란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방송을 이어가고 있다. 광고는 정원에서 땀 흘려 일한 다섯 명의 백인 남성들의 속옷이 진공 포장돼 도시의 자동판매기에서 판매되고, 이를 구매한 아시아 젊은 여성이 속옷의 냄새를 맡으면서 신음을 내고 눈이 뒤집힐 정도로 황홀해 하는 장면을 담고 있다. 광고는 여성이 황홀해 하는 순간 독일어로 "이게 봄 내음이지"라고 자막이 뜨면서 끝난다. 독일 현지에서는 한국 교민을 중심으로 해당 광고에 대한 비판 운동이 벌어지고 있으며, 독일 온라인 사이트에서 청원 운동을 하거나 베를린의 호른바흐 매장 앞에서 1인 시위를 하기도 했다.